현재 위치 :  >> 심층보도 >> 본문

신중국 고등교육 사업 발전의 길


2019-09-20      글| 장진원(張勁文)

2017년 5월 20일은 난징(南京)대학교 개교 115주년 기념일이다. 난징대학교 학생들이 모교에 대한 사랑을 행동으로 보여주었다. 사진은 당일 학생들이 졸업사진을 찍는 모습이다. 사진/ VCG

교육은 사회 경제 발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사회 공평을 나타내는 중요한 척도로 신중국 성립 이후 역대 정부는 모두 교육사업을 매우 중요시했다. ‘과학기술이 제1의 생산력’이라는 판단에서부터 ‘과학과 교육으로 국가 발전’ 전략 확립까지, 다시 19차 당대회 보고에서 ‘교육 강국 건설’ 목표까지 모두 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교육사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고등교육은 신중국 성립 이후 어떤 발전 과정을 거쳤을까? 지금은 또 어떤 발전 계획을 갖고 있을까? 신중국 성립 70주년을 맞아 중국 고등교육 발전 과정을 되짚어 보고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신중국의 고등교육 보급 과정
신중국 성립 이후 중국의 고등교육은 30년 동안 우여곡절이 많았다. 1977년 덩샤오핑(鄧小平)은 중국 신시기 과학교육 작업을 주재하고 10년 동안 중단된 가오카오(高考, 중국의 대학수학능력시험)제도를 부활시켜 시험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제도가 재개됐다. 이로써 그 시대의 지식청년에게 신시기 첫 번째 서광이 비추었고 중국에 생기를 가져왔다.

개혁개방이 추진되면서 중국의 고등교육은 빠른 발전기로 진입했다. 1992년 덩샤오핑의 남방담화(南方談話)가 있고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가 점차 확립되면서 대학교육이 촉진됐다. 특히 14차 당대회에서 교육 구조 최적화를 요구하고 신시기 고등교육 발전 전략 방침을 제시해 ‘규모는 비교적 크게, 품질은 한 단계 높게’ 발전하도록 했다. 이로써 중국의 고등교육은 내실을 추구하는 발전 철학이 싹텄고 고등교육의 질적 향상과 학과 체계 구축이 고등교육 발전의 새로운 방향이 됐다.

중국의 고등교육은 양적·질적으로 빠르게 발전했다. 양적 성장으로 봤을 때 가장 중요한 조치는 ‘대학 모집 정원 확대’다. 1990년대 전까지 중국은 가오카오를 시행했지만 진학률이 매우 낮았다. 경제가 발전하고 적령 청년이 증가하면서 고등교육 규모가 중국 사회 경제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1998년 대학을 위시해 중국의 일반 고등교육기관의 모집 규모는 108만4000명으로 고등교육 총입학률이 9.8%였다. 미국의 교육 사회학자 마틴 트로(Martin Trow)의 고등교육 단계 구분 기준에 따르면 당시 중국의 대학교육은 엘리트화 단계에 놓여 있었다.

1998년 11월 아시아개발은행 주 베이징(北京) 대표처 수석이코노미스트 탕민(湯敏)은 개인 명의로 중국 정부에 서신을 보내 고등교육기관의 모집 정원 확대를 제안했다. 같은 해 12월 중국 교육부는 <21세기를 향한 교육 진흥 행동계획>을 제정했다. 계획에서는 ‘2000년까지 고등교육을 적극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시켜 고등교육기관 입학률을 11% 내외로 올린다. 2010년까지 고등교육 규모를 비교적 크게 확대하고 입학률은 15%에 가깝게 한다. 약간의 고등교육기관과 중점 학과를 세계 일류 수준에 도달하거나 가깝게 한다’고 했다. 이때부터 중국의 고등교육기관은 모집 정원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1999년 모집 정원 확대 이후 중국의 고등교육기관의 총입학률은 2003년 15%를 돌파해 대중화 단계로 진입했다. 이후 중국 고등교육기관의 모집 정원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됐고 커버 범위도 넓어졌다. 중국 교육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중국의 각종 고등교육기관의 재학생 규모가 3833만명에 달하고 고등교육기관 총입학률이 48.1%를 기록해 곧 보급화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신중국 고등교육 수준의 향상
고등교육의 양적 성장을 추구하는 동시에 질적 성장도 계속됐다. 특히 1998년 고등교육기관 모집 정원 확대 이후 중국의 고등교육은 20여 년 동안 빠르게 발전했다. 이 20여 년의 발전 기간 동안 초기의 외연 확장식 발전에서 내실 추구로 전환됐고 고등교육은 양적 증가에서 질적 향상으로 바뀌었다.

2015년 중국 국무원은 <세계 일류 대학과 일류 학과 건설 총괄 추진 전체 방안>을 발표해 큰 관심을 모았다. 이 방안은 미래 중국 고등교육의 발전 목표를 확립했다. 즉 2020년, 2030년, 21세기 중반 등 3단계로 나눠 고등교육의 질을 전면적으로 향상시키고, 세계 일류 대학을 양성하며 일류 학과를 만들어 고등교육 강국 전략을 기본적으로 실현한다.

‘쌍일류(雙一流)’ 건설 방안은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게 아니라 역사적인 진화 과정을 거쳤다. 1995년 11월 중국 국무원 비준을 거쳐 국가계획위원회, 국가교육위원회, 재정부가 공동으로 <‘211공정(21세기를 맞아 100개 정도의 고등교육기관과 중요 학과를 중점 건설하는 공정)’ 전체 건설 계획>을 하달하고 ‘211공정’을 공식 가동했다. 이는 신중국 성립 이후 고등교육 분야 최초의 대규모 중점 건설 공정이었다. 이는 또한 중국 고등교육이 세계 우수 대학으로 향하겠다는 목표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100개 중점 대학 건설 목표는 국내 고등교육 발전 현황을 바탕으로 고등교육의 국제화 발전 추세에 착안한 것이다.

1998년 5월 4일 장쩌민(江澤民) 당시 국가주석이 베이징대학교 건교 100주년을 축하하면서 전 세계에 “현대화를 실현하기 위해 중국은 세계 선진 수준의 일류 대학이 필요하다”고 선언했다. 이를 위해 중국 교육부는 <21세기를 향한 교육 진흥 행동계획>을 시행하면서 베이징대학교와 칭화(淸華)대학교 등 일부 고등교육기관이 세계 일류 대학과 높은 수준의 대학이 되도록 중점 지원하기로 했다. 장쩌민 주석이 베이징대학교 100주년 축하 연설을 한 날짜(1998년 5월)를 따서 ‘985공정’이라고 이름 붙였다.
‘211공정’과 ‘985공정’은 국가 차원에서 고등교육을 발전시킨 중요한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고등교육의 외연 확장식 발전을 지원했을 뿐 아니라 고등교육의 내실을 다지는 발전도 고려했다. 고등교육기관의 양적 증가와 고등교육을 받는 인구 수의 증가를 중시하면서 동시에 고등교육의 질적 향상도 중요시했다.

2008년 중국은 <중국 중장기 교육 개혁 및 발전 계획 강요(2010-2020)>(이하 강요)를 발표했다. <강요>는 높은 수준의 대학과 유형별 ‘강교(強校)’ 건설을 명확하게 규정해 인재 양성의 질을 다시 한번 강화했고, 고등교육의 과학연구와 대학원생 교육 및 사회 서비스에 대해 맞춤형 건설 의견을 내놓았다. 어떤 의미에서 <강요>는 ‘쌍일류’ 건설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2015년 10월 중국 국무원은 <세계 일류 대학과 일류 학과 건설 총괄추진 전체방안>을 하달했다. 이는 중국의 고등교육이 다시 한번 새로운 발전 단계로 진입했음을 뜻한다. 2017년 9월 21일 교육부, 재정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세계 일류 대학 및 일류 학과 건설 고등교육기관 및 학과 명단에 관한 통지>를 공동 발표하고 세계 일류 대학 및 일류 학과 건설 고등교육기관 및 학과 명단을 공식 확인했다. 첫 ‘쌍일류’ 건설 고등교육기관은 총 137개로 이 가운데 세계 일류 대학 건설 고등교육기관은 42개(A군 36개, B군 6개), 세계 일류 학과 건설 고등교육기관은 95개이고, ‘쌍일류’ 건설 학과는 총 465개(자체 지정 학과 44개)이다.

볘둔룽(別敦榮) 샤먼(廈門)대학교 교육연구원 원장은 “‘211공정’과 ‘985공정’의 주요 목적은 일부 고등교육기관의 교학 수준을 집중 향상시키는 것으로 중국의 고등교육이 세계 고등교육 구도에서의 위치를 전반적으로 계획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쌍일류’ 건설은 다르다. 이는 21세기 중반기를 향한 전략으로 ‘중국몽(中國夢)’에 부합하는 고등교육 발전의 장기 전략이다”라고 말했다.

중국 고등교육 건설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면서 중국 고등교육기관의 국제 영향력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최신 순위에서 중국 대륙의 22개 고등교육기관이 영국 QS세계대학랭킹 500위에 들었고, 32개가 US NEWS 세계 대학랭킹 500위에 들었으며, 1079개 학과가  ESI(Essential Science Indicators, 세계적 권위를 인정받는 연구성과 지표)의 세계 상위 1%에 진입했고, 120개 학과가 0.1%에 들었으며, 8개 학과가 0.01%에 들었다.

현재 중국의 ‘쌍일류’ 고등교육기관은 자신의 건설 계획을 갓 시작해 진행해야 할 작업이 많다. 이로써 앞으로 중국의 고등교육 수준은 향상될 여지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글| 장진원(張勁文)

240

< >
7bc5ddc01606d0c16bf4f76818b4282.png

‘생얼’과의 화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창궐한지도 벌써 3년째.

읽기 원문>>

편약경홍과 중국의 전통 심미관

중국의 전통 미학은 상고시대의 열정적 표현에서 중세기 이래 함축적 표현에 이르기까지 시대를 거치며 다르게 변화해왔다. 그리고

읽기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