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8월, ‘선혈과 열화의 기억(血與火的記憶)’이라는 주제로 열린 대형 경전 작품 낭송회에서 팡밍은 소설 <역사의 하늘(歷史的天空)>의 일부분을 낭송했다. 사진/팡밍 본인 제공
중국인들에게 익숙하고도 친숙한 이름 ‘팡밍(方明)’. 라디오를 켤 때마다 듣게 되는, 각종 소식을 전해주는 우렁찬 목소리는 많은 중국인들의 가슴에 진한 인상을 남겼다. 팡밍의 본명은 추이밍더(崔明德). 팔순을 바라보는 나이의 그는 라디오 방송과 인연을 맺게 되던 그 당시를 떠올리며 미소 띤 얼굴로 말했다. “라디오 아나운서를 꿈꾼 적은 없었다. 내가 아나운서가 된 것은 사실 ‘우연’이었다.”
무선기술사가 라디오 아나운서가 되다
1940년 12월 30일 옌안(延安) 신화(新華)라디오방송국이 개국할 당시 라디오 방송을 맡았던 1세대 아나운서는 대부분 해방지역에서 혁명사업에 몸담았던 대학생들이었다. 고되지만 영광스러웠던 혁명전쟁 시절의 대학생들은 훌륭한 라디오 아나운서가 되어 ‘싫고 좋음이 분명한, 유연함과 강인함을 두루 갖춘, 신중하면서도 생동감 넘치는, 친절하고 자연스러운’ 방송 스타일을 구축했다. 그들은 그러한 방송 스타일로 중국의 혁명과 건설에 관한 소식을 전하며 청년들의 혁명 참여를 독려했다. 추이밍더는 바로 그러한 방송을 들으며 성장한 세대 중 한 명이었다.
신중국 건국 후 많은 것들이 새로운 시작을 준비했다. 모든 업종·업계가 사회주의 건설시기에 들어섰고, 라디오 사업 또한 활력 넘치는 대(大) 발전의 시대를 맞이했다. 1956년, 중학교를 졸업한 15세의 추이밍더는 중앙라디오사업국(中央廣播事業局)에서 기획한 기술인재훈련반에 등록, 무선송신기술을 익혔다.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가 되고자 했다. 당시는 신중국 제1차 5개년 계획 시기로, 많은 분야에서 일손을 필요로 했다. 라디오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나의 많은 동기들 모두 그때 일을 시작했다. ‘젊은 사람, 뜨거운 가슴, 마오쩌둥을 따라 전진하라…….’ 그 당시 우리는 모두 이 노래를 부르며 일선에 뛰어들었다.”
1958년, 2년 간의 훈련을 거친 추이밍더는 동급생 7명과 함께 조기졸업을 하고 중앙인민라디오방송국에 들어갔다. 업무상 필요에 의해 동서고금의 각종 예술을 접하기 시작한 그는 경극(京劇)은 물론, 평극(評劇)·허베이(河北) 방자(梆子, 허베이 지역 전통극)·산둥(山東) 려극(呂劇)·허난(河南) 예극(豫劇)·산시(陜西) 진공(秦腔)·안후이(安徽) 황매희(黃梅戲)까지 20개가 넘는 희곡(戱曲) 녹음에 참여했다. 이에 더해 상성(相聲)·민족관현악 등도 접했다. 특히 서양의 교향곡이 그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대형 악단의 연주가 시작되면 음악을 따라 기분까지 달라졌다. 내 심장이 함께 뛰는 것 같았다. 이러한 느낌은 훗날 내가 라디오 방송을 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1959년 어느 날, 저우언라이(周恩來) 총리의 라디오방송국 시찰이 있었다. 업무를 마친 방송국 직원들과 만난 저우 총리는 한 사람 한 사람 악수를 하며 격려의 말을 건넸다. “여러분들이 일하는 모습을 보기 위해 왔다. 라디오방송국 건물도 생겼고, 옌안에 있을 때보다 환경이 훨씬 좋아졌다. 옌안의 정신으로 열심히 일해주길 바란다.” 저우 총리의 목소리는 멀찍이 떨어져 있던 추이밍더의 귀에까지 들렸다. “지난 수 십 년, 라디오 방송부는 그때 말한 그 정신에 따라 걸어왔다.” 추이밍더의 말이다.
1960년의 봄, 남자 아나운서가 부족했던 터라 중앙인민라디오방송국 지도부는 내부에서 필요한 인력을 뽑기로 했다. 이때 선배 아나운서들이 추이밍더에게 마이크 테스트를 해보자고 제안, 이를 계기로 추이밍더는 라디오 아나운서의 길을 걷게 되었다. 수 개월의 교육을 받은 뒤 그가 맡은 첫 번째 프로그램은 <간추린 뉴스(簡明新聞)>였다. 스튜디오에 들어가기 전, 추이밍더는 한 가지 사실을 깨달았다. 아직까지 ‘이름’이 없다는 것이었다. 당시는 아나운서들이 본명을 사용할 수 없던 시절이었다. 몇몇 선배 아나운서들이 모여 함께 사전을 뒤적였고, 20여 분 뒤 누군가가 말했다. “’팡밍’이라고 부르자! ‘방향이 명확하다’라는 뜻이지.” 아나운서 ‘팡밍’은 그렇게 탄생했다. 그리고 ‘팡밍’은 이후 그와 평생과 함께 한 이름이자 수 많은 중국인의 기억 속에 깊게 자리 잡은 이름이 되었다.
팡밍이 녹음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팡밍 본인 제공
목소리로 기록한 신중국 성장과정
아나운서로 첫 발을 내디딘 팡밍은 선후배들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 그들은 팡밍을 위해 진심 어린 조언과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치웨(齊越)·샤칭(夏青) 같은 선배들 모두 나의 스승이었다. 원고 내용, 스타일을 분석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내가 가야 할 길까지 안내해주고 인도해주었다. 책임감을 느끼게 해주며 단련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도 했다.” 특히 선배 아나운서 샤칭은 사전을 공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샤칭 선배는 나에게 매일 사전 세 쪽을 읽으라고 하셨다. 그렇게 하다 보니 1년만에 사전 한 권을 끝까지 읽게 됐다.” 팡밍은 샤칭의 말대로 열심히 공부하며 열심히 원고를 준비했다. 팡밍의 집에는 아직도 다양한 종류의 사전이 가지런하게 정리되어 있다. 모두 팡밍이 공부했던 사전들이다.
방송을 배운다는 것은 표면적인 것에서 본질로 들어가는 과정이다. 틀리지 않는 것은 첫 걸음에 지나지 않으며, 자신만의 방송스타일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선배들의 특징과 스타일을 연구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팡밍은 페이지핑(費寄平) 등 건국 초기 구 소련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아나운서들의 방송 스타일, 이른바 ‘모스크바 스타일’을 떠올렸다. 일상생활과 친숙한, 온화하고 부드러운 스타일의 방송이었다. “한때 나는 페이지핑의 모스크바식 스타일을 좋아했었다. 격조가 있으면서도 편안하게 느껴졌다.” ‘모스크바 스타일’의 영향을 받은 팡밍 또한 낮은 목소리를 내려 노력했다. 하지만 페이지핑의 목소리는 본래 메조 소프라노 톤으로, 이러한 스타일은 팡밍에게 어울리지 않았다., 팡밍은 결국 제 색을 잃고 말았다. 한번은 치웨로부터 “목소리를 왜 그렇게 까느냐”라는 꾸중을 듣기도 했다. 팡밍이 자신의 음색에 맞춰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어가야 함을 깨닫게 된 순간이었다.
방송을 배운지 1년 6개월 여가 지난 1961년, 팡밍은 중앙인민라디오방송국의 <뉴스 및 신문 주요 내용> 프로그램을 맡게 된다. 아직 TV가 보급되기 전이던 당시, <뉴스 및 신문 주요 내용>은 오늘날 CCTV의 뉴스 <신문연파(新聞聯播)>와 같은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후 팡밍은 중요한 방송임무를 맡기 시작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1965년 톈안먼(天安門) 성루(城樓)에서 건국 기념 퍼레이드를 중계하는 것이었다.
톈안먼 퍼레이드 중계 임무를 맡은 팡밍은 보름 전부터 준비에 착수했다. “중계 방송은 낭송을 하는 것이 아니고, 연기를 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중계 방송을 하는 데는 ‘진(眞)’자가 필요하다. 표정부터 말투까지 현장의 퍼레이드 팀과 하나가 되어 청중들에게 소리로서 모든 장면을 전달해야 한다. 노동자들의 힘, 학생들의 패기, 어린이들의 천진난만함, 모든 것을 언어로써 표현해야 하는 것이다.”
팡밍에게 아나운서란 역사를 기록하는 직업이다. 때로는 가벼운 걸음으로, 때로는 무거운 걸음으로 전진하고 있는 역사를 팡밍은 볼 수 있다. “나와 동료들은 모두 목소리로 역사를 기록하는 사람들이다.” 1978년 중국 곳곳에 개혁의 훈풍이 불기 시작하면서 라디오사업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개혁개방의 동풍을 탄 중국의 방송 프로그램은 점차 개방과 포용,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새로운 시대의 스타일을 형성했다. 1984년, 당시 43세의 팡밍은 다시 한번 톈안문 성루에 서게 된다. 1984년 건국 기념 열병식 및 퍼레이드 중계 임무를 맡은 것이었다.
“중앙인민라디오방송국 청취자 여러분, 타이완ㆍ홍콩ㆍ마카오 동포 여러분, 해외에 계신 교포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35주년 기념일입니다. 모두 행복한 궈칭제(國慶節)를 보내시기 바랍니다!” 1984년 10월 1일, 중국 각 가정, 중국 전역은 물론, 전세계는 톈안먼 성루에서 시작되어 전파를 타고 전해질 목소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1959년 이후 25년만에 거행된 대규모의 건국 기념 열병식이자 개혁개방 이후 중국이 처음으로 외부에 전투역량을 공개하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통계에 따르면, 당시 중국에는 2억대의 라디오가 있었다고 한다. TV 보급률이 미미했던 상황에서 대다수 중국인들은 라디오를 통해 열병식 상황을 들을 수 밖에 없었다. 팡밍은 이 같은 중차대한 임무를 맡는다는 것은 라디오 아나운서에게 있어 크나 큰 영광이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 열병식에 앞서 팡밍은 왕환(王歡) 아나운서와 함께 지도자들을 수행하며 열병식에 참가하는 각 부대들을 방문했었다. “나는 수 많은 대중과 청중의 기분을 라디오를 통해 표현해야 했다. 그리고 군인들의 용맹스러움과 강철 같은 힘을 단어에 실어야 했다.” 두 시간 넘게 중계를 하는 동안 팡밍은 1만여 자(字)를 말했지만 단 한 마디도 틀리지 않았다. 팡밍은 그렇게 열병식의 성황을 성공적으로 전 중국에 알렸고, 개혁개방 이후 활기가 넘치는 중국의 모습을 전세계에 전달했다.
1965 년 10 월 1 일 , 팡밍 ( 왼쪽 첫 번째) 과 치웨 ,린톈 ( 林田) 이 톈안먼 성루에서 건국기념행사를 중계하고 있다 . 사진/중앙라디오텔레비전방송국 제공
‘낭송가’로의 변신, 중화문명을 알리다
언어문자 작업을 주로 하는 팡밍에게는 라디오 진행만큼 중요한 것이 있다. 바로 문학작품 낭독으로, 그의 삶에서 절대 없어서는 안 될 것이다.
팡밍의 문학방송창작은 ‘후적박발(厚積薄發, 안으로 두텁게 쌓고 밖으로는 조금씩 드러내다)’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에 조금의 모자람도 없다. 일찍이 1961년 5월 중앙인민라디오방송국은 문학평론 프로그램 <열독과 감상>을 편성했고, 방송 초기부터 팡밍에게 프로그램 진행 기회가 주어졌다. 당시 팡밍은 시(詩)나 사(詞) 같은 고전문학을 알기 쉽게 설명함과 동시에 심금을 울리는 낭독으로 많은 청취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 덕에 팡밍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은 1980년대 라디오 방송 전체의 1/3, 1990년대에 이르러서는 3/4까지 늘어났다.
팡밍의 이 같은 성과는 초창기에 들였던 노력의 결과다. 팡밍에 따르면, 신규 프로그램을 편성할 때마다 방송국은 언제나 중문(中文)전문가를 초빙해 팡밍과 같은 아나운서들에게 고문(古文), 특히 평측(平仄)과 운각(韻脚)에 대해 교육시켰다. 이때부터 팡밍은 고문을 한 편씩 받을 때마다 평측과 운각 등을 열심히 연구했고, 이를 통해 방송에 철저히 대비함과 동시에 청취자들의 귀를 사로잡을 수 있었다.
흔히 ‘3은 글의 몫이고 7은 읽는 이의 몫’이라고 한다. 아무리 좋은 글이라 할지라도 좋은 아나운서를 만나지 못하면 글의 참 맛을 느낄 수 없다는 뜻이다. 팡밍과 함께 <읽기와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했던 작가 류이(劉刈)는 “팡밍이 없었다면 <읽기와 방송>은 벌써 쓰러졌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실제 많은 경우 팡밍이 수정한 원고가 방송되어 관계자들은 ‘금상첨화’ 심지어는 ‘기사회생’이라고 말할 정도다. 류이는 당시 리상인(李商隱)의 <안정성루(安定城樓)>에 대한 소개글을 받았던 때를 떠올렸다. 사실 원문은 수준이 떨어졌고 라디오를 통해 방송하기에도 적합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프로그램 편성을 폐지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나중에 어렵게 글을 수정했고, 이어 팡밍이 방송을 맡으면서 이 방송은 상상을 뛰어넘는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이 일이 있은 뒤 제작진은 “쓰레기통 행이 될 뻔한 원고가 완전히 달라졌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개혁개방 이후 TV가 점차 보급되면서 라디오 영향력이 약화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 팡밍은 종전의 영역을 뛰어넘는 새로운 도전을 했다. 1987년 CCTV 춘제(春節, 설) 특별공연(聯歡晚會)의 상성 <라디오 방송을 배우다(學播音)>에서 상성 배우 샤오린(笑林)이 중앙인민라디오방송국의 몇몇 유명 아나운서들의 성대모사를 하며 시청자들로부터 큰 박수를 받은 일이 있었다. 당시 샤오린은 무대 아래로 내려와 한 중년 방청객에게 두보의 <춘야희우(春夜喜雨)>를 낭독해보라고 했다. “호우지시절(好雨知時節, 좋은 비는 시절을 알아) 당춘내발생(當春乃發生, 봄이 되니 내리네). 수풍잠입야(隨風潛入夜, 바람 따라 몰래 밤에 들어와), 윤물세무성(潤物細無聲, 소리 없이 촉촉히 만물을 적시네).” 귀에 익숙한 호탕한 목소리, 중년 방청객은 알고 보니 팡밍이었다. 팡밍과 동료 아나운서들은 이때부터 TV를 통해 얼굴을 알리기 시작했다. 그 동안 목소리로만 유명세를 타고 얼굴은 공개한 적 이 없던 라디오 아나운서들이 무대 위로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무대에 서기 시작한 팡밍은 고전 시를 낭독했다. 그 동안 축적한 문화지식을 창작의 씨앗으로 삼았고, 여기에 낭송 기교를 적절하게 발휘하여 각각의 작품에 담긴 분위기와 스타일을 남김 없이 표현했다. 1999년 2월 20일, 베이징 음악홀에서 대규모 고전 시(詩)·사(詞) 음악 낭송회인 <당(唐)·송(宋) 명작 시·사 음악 낭송회>가 열렸다. 낭송회 두사(頭詞)에 쓰인 약 1000자 분량의 <탕기회장(蕩氣回腸, 문장이나 노래가 사람을 감동시키다) 당·송 편(唐宋篇)>은 팡밍이 낭송했다. 막이 올라가자 등장한 팡밍은 세월의 풍파를 간직한 듯한 목소리, 허구와 사실을 더한 표현으로 관객들을 멀고 먼 과거로 데려갔다. “성하경경(星河耿耿), 銀漢迢迢(은한초초). 아득히 먼 곳에서 달려온 중화문명의 길고 긴 강, 천 번 만 번 굽이치며 명주(明珠) 하나를 띄웠다. 그 찬란한 빛깔이 시공을 초월해 중국 문학의 길을 비춰주나니, 그것은 곧 중화민족문화의 근 천 년을 키웠고, 세계가 기억할 당(唐)·송(宋) 문학을 낳았네….” 이 낭송회는 베이징에서 여러 차례 개최된 데 이어 상하이·광저우(廣州)·톈진(天津)·어얼둬쓰(鄂爾多斯)·샤먼(廈門)·홍콩·타이베이 등지에서도 열리며 많은 이들로부터 호평을 얻었다.
팡밍은 유네스코 초청으로 2012, 2013년 2년 연속 파리를 방문, ‘<도덕경(道德經)> 낭송회’와 ‘인자(仁者)의 노래--<논어(論語)> 낭송회’에 참가했다. 국제적인 낭송회에서 팡밍은 호연하면서도 침착하고, 힘이 넘치면서도 소탈한 낭송으로 중화민족정신을 재해석하며 유럽 관객들의 열렬한 호응을 이끌어냈다. “중국은 수천 년의 역사를 간직한 문명고국(古國)이며, 중화문화는 매우 찬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중국 고전문화의 정수를 흡수해 중화민족의 고대문명과 우수한 전통을 계승해야 한다. 그래야만 중화문명을 더욱 드높일 수 있다. 어떤 민족이든 간에 그 민족 자체의 발전에 기반해야만 비로소 세계 민족의 숲에 안정적으로 설 수 있다.” 고전을 낭독하고 재해석하는 팡밍의 표정과 말투에는 언제나 민족적 책임감이 강하게 묻어난다.
일을 시작한 이후 팡밍은 자신이 맡은 일에 모든 역량을 집중했다. 2006년 위암으로 위 절제술을 받았지만, 치료 기간 중에도 의사와 간호사들에게 <늙어가는 것에 대한 대답(對衰老的回答)>을 낭독해주며 결코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강한 뜻을 보여주었다. 수술 후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업무에 복귀하고 3개월이 되지 않았을 때는 무대로 돌아간 팡밍. 백발이 성성한 노인이 된 지금에도 여전히 중국 전통문화 계승과 언어 정음(正音) 작업에 혼신의 힘을 쏟고 있다. “내 생명의 배를 폭풍우가 몰아치는 바다에서 침몰하게 할 것이다. 내 폐부(肺腑)의 노래를 훼예포폄(毁譽褒貶) 속에서도 영생(永生)하게 할 것이다. 나는 운명의 신이 준 모든 선물을 기꺼이 받겠지만, 그러나 한 가지만은 거절한다. 바로 ‘평용(平庸)’이다.” 그가 낭송한 이 구절이야말로 그가 실천한 삶이 아닐까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