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 사회·문화 >> 본문

전가 이야기

중국의 ‘여공’


2025-03-22      

백자도(百子圖)를 수 놓은 이불

 

나는 수공예를 매우 사랑한다. 특히 중국 ‘여공(女紅)’의 창작품을 좋아한다. ‘여공’은 여성이 만든 수공예품을 폭넓게 지칭하는 말이다. 중국은 국토가 넓고 역사가 유구해 대대손손 이어진 수공예품도 많다. 그 안에는 어머니들의 소박한 솜씨과 아름다운 자애심이 담겨 있고, 바늘 한 땀 한 땀으로 이뤄진 화려하고 아름다운 보물은 각 시대 여성의 창의력이 중국 민간에 깊이 뿌리내리게 했다.


1996년 타이완(台灣)에서 ‘중국 여공방(中國女紅坊)’을 설립한 천차오첸(陳曹倩) 여사는 ‘어머니의 예술’이라는 새로운 예술 영역을 개척했다. 바느질(縫)과 자수(繡), 편직(編), 방직(織) 외에 천차오첸은 ‘어머니 예술기금’을 설립해 꽃꽂이, 다도, 전지(剪紙) 공예, 판화 등을 보급하며 문화 보존과 혁신을 동시에 추진했다. 이를 통해 여성의 문화 소양을 향상시켰으며 취약 계층 지원을 통해 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 기여했다. 또, 교사를 양성하고 지역의 특화된 기술과 문화를 보존하고 개발하는 데 힘썼다. 첸차오첸이 보여준 헌신과 뛰어난 공헌에 사람들은 극찬을 보내고 있다.


중국 매듭 요소를 활용한 찻잎 보관함

 

중국 여공의 세계는 매우 넓다. 타이완의 <한성(漢聲)> 잡지도 중국 본토 각지를 직접 취재했다. 깊은 산 속에 사는 둥(侗)족의 직물과 자수 기술, 산시(陝西)성 농촌 할머니들의 솜씨 좋은 천 공예, 산둥(山東)성 여성들의 전통 수공예 방직, 산시성 여성들의 다양한 전지 공예 등을 심층 보도했다. 이 잡지는 교육 방법을 함께 제공해 세상이 시공간의 거리를 좁히고 중국 여공이 지닌 깊이와 넓이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했다. 사심 없이 헌신하는 문화 종사자들에게 우리는 진심 어린 경의를 표한다.


나는 중국 여공의 자수와 뜨개질을 가지고 같은 스타일의 파티용 백을 제작했다. 우리 민족이 가진 전통 문양을 구슬을 꿰어 가볍고 정교한 파티용 클러치로 만들었다. 할머니들이 할 것 같은 기술을 트렌디한 장식품으로 변신시켰다. 중국 여공의 세계는 옛 것을 되새기며 늘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곳이다.



전통 민족 도안이 수놓아진 손가방(위)과 사용된 재료들(아래)



타이완(台灣)에는 다양한 성격의 동호회가 있다. 다양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배우고 공유하고, 사교의 역할도 한다. 내가 참여한 여공 동호회는 바느질(縫), 자수(繡), 편직(編), 방직(織)으로 모두 활발하게 진행돼 정기적으로 발표회도 개최했다. 발표회에 전시된 작품은 서양 공예와 결합해 디자인이 매우 현대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중국 전통 공예 기법도 엿볼 수 있다.


내 친구는 중국 여공방의 ‘바느질’ 과정에서 배운 기술로 이불 커버를 만들었다. 그녀가 들었던 수공예 강좌는 총 30회로 구성됐는데, 매 회당 바느질 기법 한 가지를 배워 한 개의 사각형을 바느질한다. 이것을 전부 연결해 이불 커버로 만든 것이 졸업 작품이 됐다. 그녀는 이 작품을 통해 ‘중국 여공방’ 졸업증도 받았다.


고대 중국에서 비롯된 ‘자수’법은 촉수(蜀繡), 상수(湘繡), 월수(粵繡), 소수(蘇繡)가 가장 유명하다. 자수법이 저마다 다른 것 외에도 자수 실 자체의 재질과 식물 염료를 사용한 다양한 염색 방법은 각 지역 특색이 부각된 수공예품을 탄생시켰다. 지금도 중국에는 베테랑 ‘자수 장인(绣娘)’이 많다. 그들은 명화를 수놓아 그림보다 더 깊이 있는 입체감을 선사하기도 한다. 어머니가 영락극장(永樂戲院, 마카오의 대형 극장)에서 경극을 연출한 수년 동안, 무대 의상에 수놓은 나비와 꽃, 테두리 장식은 모두 어머니의 친구 천장퉁(陳長桐) 여사가 도안을 그린 뒤 자수 전문가에게 맡겨 제작한 것이다. 다양한 자수 실로 수놓은 의상은 무대 위에서 때론 화려하게 때론 부드러운 광채를 발하며 보는 이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냈다.


재봉, 자수, 편직, 뜨개질 등 네 가지 기법으로 제작된 손가방



중국 매듭(中國結)은 ‘편직’법의 정수라고 할 수 있다. 옛사람들은 매듭을 지어 기록을 남겼는데 이것이 ‘편직’법의 시작이었을 것이다. 중국 매듭의 편직은 미학적 표현뿐 아니라 기하학 지식과 논리를 적용하고 실용성이 강하기도 하다. 우리의 옥기와 영락(璎珞)은 종종 중국 매듭을 사용해 부품을 연결했으며 묶었다 풀었다 하는 장치로도 사용됐다. 술 장식과 자주 조합돼 참장식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나도 구슬을 디자인할 때 편직 방식을 이용해 같은 구슬을 중국 매듭 기법으로 엮기도 했다. 그중 하나가 구슬을 8줄로 엮어서 정사각형을 만드는 것인데 엮는 것은 조금 어렵지만 효과는 뛰어났다.


편직의 기원은 몇 가닥의 끈과 실에 불과했지만, 엮는 방법은 매우 많아 한 작품에서도 다양한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나는 중국 매듭의 편직법을 활용해 두 개의 찻잎통 장식을 만들었다. 본래 단조로웠던 찻잎통에 생동감과 매력을 더했다. 중학교 가정 수업 시간에 선생님이 간단한 중국 매듭을 가르쳐 줬다. 배우고 나서 여러 가지 디자인을 만들 수 있어 매우 즐거웠던 기억이 있다.


‘방직’에는 유명한 직금단(织锦缎, 이불보·여성복 따위에 쓰이는 중국 전통공예 견직물로 전체 비단에 화초·새·풍경 등이 정교하게 그려져 있음)이 있다. 중국 전통 비단 직물을 일컫는 총칭으로 대부분 화려한 편이다. 보통 경문(經紋)은 주로 단색을 사용하고, 세 가지 이상의 위문(緯紋) 채색 실로 무늬를 만든다. 여기에 사문(斜紋) 직조를 이용해 또 다른 장식 효과를 내기도 한다. 현대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직물은 털실이다. 나는 털실로 스웨터를 만든 적이 있는데 훨씬 따뜻해 보였다. 



<전가> 소개

타이완(臺灣) 작가 야오런샹이 7년 만에 탈고한 역작으로 각각 봄, 여름, 가을, 겨울 네 권으로 이뤄져 있다. 각 권마다 6개의 주제로 나뉘며, 유려한 글과 생동감 넘치는 사진으로 중국인들의 계절별 생활 방식과 전통문화를 기록했다. 저자는 자신의 ‘전가’를 통해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저마다의 ‘전가’를 갖게 되기를 희망한다. 이 책은 중국인이라면 누구나 소장해야 할 ‘전통문화 백과사전’이자,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인의 생활 속 지혜를 들여다보고자 하는 외국인들을 위한 ‘입문서’이기도 하다.



저자 소개

야오런샹(姚任祥)

중국의 유명 경극 배우 구정추(顧正秋)의 막내딸이자 국학(國學) 대가 난화이진(南懷瑾)의 제자. 16세에 데뷔한 ‘1세대 캠퍼스 민요 가수’ 중 한 명이다. 타이완의 유명 건축가 야오런시(姚仁喜)의 아내이자 세 아이의 엄마이기도 하다. 주얼리 디자이너로 20년 넘게 아름다운 작품을 디자인했으며, 작가로서 해외에서 유학 중인 중국 청년들이 전통문화를 잊지 않도록 가르침을 전수하기 위해 <전가>를 직접 집필했다.

240

< >

희양양부터 나타까지, 中 애니메이션 발전사

지난 2010년 중국에서 대박을 터뜨린 애니메이션 영화 <희양양과 회태랑: 호호생위(喜羊羊與灰太狼之虎虎生威)>를 본 적이 있다.

읽기 원문>>

홍길동에서 뽀로로까지...

올 춘절(春節, 음력 설), <나타지마동요해(哪吒之魔童鬧海, 나타: 요괴 소년의 바다 대소동)>(이하 나타 2)가 박스 오피스 고공 행진을 하면서 중국 애니메이션이 최고의 순간을 맞이했다.

읽기 원문>>